본문 바로가기

운전착오(착각)의 유형 운전자는 눈이 보이는 상황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동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의 성격, 운전습성, 경험, 심리상태 등에 따라 능동적으로 인지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보를 선택으로 받아들이고 행동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처리의 과정에서 운전자는 심리적․정신적 상태 또는 조건에 따라 속도감, 거리감, 크기 등 교통상황에 대한 착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착각의 결과로서 인지지연이나 판단오류, 조작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전방 신호등의 상태를 잘못 인지할 수 이도 있고, 앞차량의 크기나 속도, 차간거리를 착각할 수도 있으며, 도로의 굽은 정도나 경사를 잘못 인지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인간의 불완전성내지 부정확성에서 오는 운전자의 착각이 모두 사고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교통사고의 주요.. 더보기
수막현상(hydroplaning)? 차량이 물이 고여있는 노면위를 고속주행하면 타이어가 노면과 직접 접촉하면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수막(水膜;water film) 위로 떠올라 주행하게 되는데 이것을 수막현상(hydroplaning)이라고 한다. 수막은 타이어와 노면사이의 접촉마찰을 방해하고 고인 물의 양에 따라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마찰계수가 저하되어 제동력이나 구동력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고 핸들조작시에 발생하는 횡방향마찰력도 상당히 저하되어 조향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수막현상은 구조적으로 타이어의 공기압, 주행속도, 고인물의 깊이, 타이어의 트레드패턴(tread pattern) 및 마모상태, 노면의 거칠기 등에 영향을 받는다. 수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치가 필요한가? 고인물이 있는 노면에서 타이어의 접촉.. 더보기
사고현장의 측정요소및 방법 사고현장의 측정요소와 방법>교통사고의 충돌현장에는 사고차량 또는 보행자의 최종정지위치, 스키드마크(skid-mark), 요마크(yaw-mark), 충돌시 나타나는 문질러진 타이어자국(collision scrub), 바람빠진 타이어자국(flat tire mark), 가속타이어자국(acceleration tire mark) 등의 여러 타이어자국들, 노면의 파인흔적(gouge)과 긁힌흔적(scratch), 파손잔존물이나 혈흔, 오일, 냉각수, 배터리액 등 각종 액체잔존물의 물리적흔적이 떨어져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물리적흔적들의 측량·측정은 교통사고재현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여기에서 측량이란 물리적흔적에 대한 상대적 위치관계를 구하는 것이고, 측정이란 상대적 위치관계를 줄자, 측량기 .. 더보기
안전벨트의 올바른 착용요령 안전벨트는 충돌시 승객이 전방으로 튀쳐나가 핸들, 대쉬판넬, 앞유리 등 차내부와 2차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승객구속용 안전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성인남자가 신체의 팔, 다리만으로 지탱할 수 있는 관성력의 한계는 자기 체중의 약 2~3배 정도이고 이것은 5~7km/h로 정면충돌할 때 발생하는 관성력의 크기와 같다. 따라서 안전벨트 미착용시에는 5~7km/h 이상의 충돌시 승객의 전방 관성운동을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차내부와의 2차충돌을 방지하기 어렵다. 또한 충돌시 승객에게 미치는 관성력은 20km/h일 때 자기체중의 약 5~6배, 40km/h일 때에는 약 10~12배, 100km/h이상에서는 자기체중의 약 30배이상이 걸리기 때문에 안전벨트 미착용시에는 심각한 인체손상을 피하기 어렵다. 즉 .. 더보기
차량의 파손부위에 대한 관찰방법 사고차량에 나타는 파손흔적의 형태, 크기, 모양 등은 그 사고의 충돌상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물적증가가 된다. 물론 파손흔적만으로 전체적인 충돌전후의 운동상황을 유기적으로 추정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파손은 충돌의 맞물림정도, 충돌시자세, 충돌시 차량의 운동상황(가속이나 감속), 충격력이 작용한 방향 등 사고를 바르게 재구성(reconstruction)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기초자료이다. 또한 일본의 자동차사고공학자인 하야시 히로시는 차량의 파손부위를 통해 사고의 존재성을 판단할 수 있고, 충돌형태의 운동역학적인 추정을 하는데 보충할 수 있다고 그 의미를 파악하고 있다. 파손부위를 관찰할 때 관심있게 구별, 판단해야할 요소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손상의 정합성을 확인해야 한다.충돌의 진위여부 또는 충.. 더보기
혈중알콜농도란?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31조에 의하면 술취한 상태의 기준은 혈중알콜농도 0.05%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음주운전 단속을 위한 혈중알콜농도의 기준은 0.05%이다. 혈중알콜농도란 인체내 알콜의 함량을 나타난 것으로 보통 BAC(blood alcohol concentration)또는 BAL(blood alcohol level)로 표시하며 단위는 혈액속의 알콜농도를 %(w/v;g/100㎖)으로 나타낸다. 즉 혈중알콜농도 0.05%라고 하는 것은 100㎖의 혈액 중 알콜이 0.05g 들어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혈중알콜농도는 혈액에서 직접 채취하거나 호흡 또는 소변을 통해 측정이 가능하다. 보통 음주단속은 사용의 편리성 등으로 인해 호흡식 음주측정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호흡 중에 포함된 알콜의 양이 혈중알콜농도에 .. 더보기
신호교차로에서의 신뢰의 원칙 신호교차로에서의 신뢰의 원칙 도로교통에서 신뢰의 원칙이란 스스로 교통법규를 준수한 운전자는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도 교통법규를 지킬 것이라고 신뢰하기 때문에 교통법규를 위반하거나 비상적인 운전행위까지 예상하여 운전할 주의의무는 없다는 원칙을 말한다. 즉 상대방이 교통법규를 위반할 것이라고 충분히 예상되거나 이미 사고전에 법규를 위반하여 신뢰관계를 기대할 수 없는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정상적으로 교통법규을 준수하며 운전한 운전자에게 사고책임을 지울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선침범사고에 있어 피해운전자는 상대방 차가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중앙선을 침범하리라고 예상하여 운전할 주의의무는 없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신뢰의 원칙은 1957년 대법원에서 처음으로 적용이후 계속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는 추.. 더보기
유효충돌속도(effective impact speed) 란? 유효충돌속도(effective impact speed) 란? 속도가 V1인 A차와 속도가 V2인 B차가 정면충돌 또는 정면추돌하면 양차량은 서로 운동량(중량*속도)을 교환하면서 찌그러짐(소성변형)을 동반하게 된다. 이렇게 충돌에 의해 맞물린 양차량은 도중에 속도가 같아지는 시점에서 일체가 되어 운동량이 큰 차량이 상대적으로 운동량이 작은 차량을 밀고 진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최초충돌(first contact)후 양차의 속도가 같아지는 시점을 공통속도(VC)시점이라고 하고 이 공통속도시점에서 양차량은 서로 운동량의 교환을 완료하기 때문에 차량의 변형도 일반적으로 이 시점에서 거의 종료된다. 이때 양차량의 충돌중의 속도변화를 살펴보면 A차의 경우 처음 V1의 속도에서 공통속도(VC)로 변화되고, B차의 경우.. 더보기
신호지시위반 교통사고의 처리지식 교통법 제5조에서는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자나 차마는 신호기 또는 안전표지가 표시하는 신호 또는 지시와 교통정리를 하는 경찰공무원(전투경찰순경을 포함)과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경찰공무원을 보조하는 사람의 신호나 지시를 따라야 한다.”라고 신호.지시에 따른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신호지시위반사고를 일으켰을 때 운전자에게 발생하는 형사, 민사, 행정적인 책임관계와 신호지시위반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형사처벌관계 :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단서 제1호)​신호지시위반사고는 교통사고처리의 특례를 인정받을 수 없는 중요법규 위반사고로 종합보험에 가입되었다 하더라도 형사처벌을 면할 수 없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에 의하면 “도로교통법 제5조의 규정에 의한 신호기 또는 교통정리를 하.. 더보기
에어백의 승객보호와 작동조건 에어백의 승객보호와 작동조건 에어백은 충돌사고시 운전자 및 탑승자가 핸들, 유리, 계기판 등 차내부에 부딪쳐 발생할 수 있는 2차사고를 방지하고 상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를 정상적으로 착용한 상태에서 최대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안전벨트의 보조구속장치(SRS; Supplement Restraint System)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충돌시 안전벨트에 의해 승차자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조건에서 에어백이 작용하게 되면 오히려 에어백의 팽창력에 의해 탑승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고 또한 과도한 수리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안전벨트만으로 승차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는 충격조건에서 전개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에어백의 작동조건은 정면충돌용, 측면충돌용, 가슴보호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