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착오(착각)의 유형
운전자는 눈이 보이는 상황에 대한 모든 정보를 수동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의 성격, 운전습성, 경험, 심리상태 등에 따라 능동적으로 인지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보를 선택으로 받아들이고 행동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처리의 과정에서 운전자는 심리적․정신적 상태 또는 조건에 따라 속도감, 거리감, 크기 등 교통상황에 대한 착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착각의 결과로서 인지지연이나 판단오류, 조작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전방 신호등의 상태를 잘못 인지할 수 이도 있고, 앞차량의 크기나 속도, 차간거리를 착각할 수도 있으며, 도로의 굽은 정도나 경사를 잘못 인지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인간의 불완전성내지 부정확성에서 오는 운전자의 착각이 모두 사고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교통사고의 주요..
더보기
사고현장의 측정요소및 방법
사고현장의 측정요소와 방법>교통사고의 충돌현장에는 사고차량 또는 보행자의 최종정지위치, 스키드마크(skid-mark), 요마크(yaw-mark), 충돌시 나타나는 문질러진 타이어자국(collision scrub), 바람빠진 타이어자국(flat tire mark), 가속타이어자국(acceleration tire mark) 등의 여러 타이어자국들, 노면의 파인흔적(gouge)과 긁힌흔적(scratch), 파손잔존물이나 혈흔, 오일, 냉각수, 배터리액 등 각종 액체잔존물의 물리적흔적이 떨어져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물리적흔적들의 측량·측정은 교통사고재현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작업 중의 하나이다. 여기에서 측량이란 물리적흔적에 대한 상대적 위치관계를 구하는 것이고, 측정이란 상대적 위치관계를 줄자, 측량기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