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가 내리면 볼 수 있는 교통사고중 하나로 빗길교통사고인데요,
오늘은 빗길 안전운전방법에 대하여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빗길운전의 위험성
우선 시야가 나빠 안전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앞 유리창에 김이 서리거나 물기가 있어서 시야를 방해하고, 창닦개의 작동범위에 한정되므로 시력이 미치어 볼 수 있는 범위는 창닦개의 작동범위에 한정되므로 좌우안전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또한 차바퀴가 미끄러지기 쉬운데요.
도로가 미끄러워서 정지거리가 길어지고, 핸들 조작과 브레이크 조작이 잘 안 되어 차를 제어하기가 어려워집니다.
보행자의 주의력 또한 약해져서 비가 오면 보행자는 우산을 받치고 아래를 내려다보며 걸어가는 데만 신경을 쓰기 때문에 자동차나 신호등에 대해서는 주의를 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전한 빗길 운전 요령
비가 오는 날은 시야가 나쁠 뿐 아니라 노면이 미끄러지기 쉽고 정지거리가 길어지므로 맑은 날보다 속도를 20%정도 줄이고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운전해야 합니다.
또한 급출발, 급핸들, 급브레이크 등의 조작은 미끄러짐이나 전복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거나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 나누어 밟는 등 기본적인 운전 방법을 잘 지켜야 합니다.
노면 레일이나 공사현장의 철판, 맨홀의 뚜껑 등은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가능한 피하고 부득이 그 위를 통과할 때에는 사전에 속도를 늦추어서 천천히 동화하여야 하며 절대로 급브레이크를 밟지 않는것 또한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물이 깊게 고인 곳을 지나면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때가 있으므로 될수록 피해서 통과하되 그곳을 통과해야할 부득이한 사정이 생긴다면 정지하지 말고 저속운전을 하여 통과하시면 됩니다.
■ 제승의 "한국자동차보상센터"
▷전화 1577-5494
▷메일 js15446684@daum.net
▷팩스 02-6919-9007